시라토리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라토리 사건은 1952년 1월 삿포로 시경 소속 시라토리 가즈오 경부가 자전거를 타고 귀가하던 중 총격을 받아 사망한 사건이다. 사건 발생 전부터 시라토리 경부에게는 일본 공산당 관련 협박장이 여러 차례 도착했고, 수사 당국은 공산당의 범행으로 보고 수사를 시작했다. 이후 공산당 홋카이도 도당은 사건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보였고, 수사 결과 공산당 삿포로 시당 위원들이 체포되었으나, 증거 조작 의혹과 함께 재판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이 사건은 일본 사법 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시라토리 결정'은 재심 재판의 기준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1월 - 구리타 겐조
구리타 겐조는 불우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1948년부터 1952년까지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끔찍한 범죄를 저지른 일본의 연쇄 살인범으로, 1심에서 두 차례 사형을 선고받은 후 1959년 사형이 집행되었으며 그의 사건은 사형 제도 존치 논쟁에 영향을 주었다. - 1963년 판례 - 포포로 사건
포포로 사건은 1952년 도쿄 대학에서 포포로 극단이 마쓰카와 사건 연극을 공연하던 중 학생이 사복 경찰관을 폭행하고 수첩을 빼앗은 사건이며, 최고 재판소는 대학의 학문 자유와 자치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 경찰 개입이 정당하다고 판결했다. - 1975년 법 - 장애인 권리 선언
장애인 권리 선언은 장애인이 차별 없이 모든 권리를 누릴 자격이 있음을 명시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시민적, 정치적 권리, 자립 지원, 사회 참여, 차별 및 학대로부터의 보호, 정보 접근성 등 다양한 권리를 포함하는 국제적 선언이다. - 1975년 법 - 그리스의 헌법
그리스 헌법은 대통령 중심제의 의원 내각제 공화국을 규정하고 그리스 정교회의 우위를 확인하며, 개인 및 사회적 권리를 보호하고 국체의 형태와 변경 불가능한 인권 및 자유를 보장하며 1975년에 제정되어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시라토리 사건 | |
---|---|
사건 개요 | |
명칭 | 백조 사건 |
공식 명칭 | 백조 경부 사살 사건 |
발생 장소 | 일본・삿포로시 남6조 서16번지 |
날짜 | 1952년 (쇼와 27년) 1월 21일 |
시간대 | 밤 |
원인 | 불명 |
수단 | 권총 |
공격 측 인원 | 1 (실행범) |
무기 | 권총 |
사망자 | 1 |
피해자 | 백조 가즈오 경부 |
범인 | 불명 |
용의 | 불명 |
동기 | 불명 |
관여 | 불명 |
방어 | 불명 |
대처 | 불명 |
사죄 | 중핵자위대 소속이었던 T에 의한 사죄. 주범・실행자, 관여가 의심된 일본 공산당에 의한 사죄는 없음. |
보상 | 불명 |
배상 | 불명 |
형사 소송 | 불명 |
영향 | 주범 격으로 여겨졌던 무라카미 구니하루의 재심 청구의 특별 항고와 관련하여, 이른바 '백조 결정'이 판시됨. |
유족회 | 불명 |
피해자 모임 | 불명 |
관할 | 불명 |
2. 사건 배경
1952년 1월 21일 오후 7시 40분경, 삿포로 시경 소속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가 자전거로 귀가하던 중 삿포로시 남구 6조 니시 16가 노상에서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범인은 자전거를 타고 도주했다.[1] 시라토리는 삿포로 시경 경비과장으로, 당시 비합법 활동을 하던 일본 공산당 체포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사건 발생 2일 후, 일본 공산당 홋카이도 도당은 "당과의 관계 여부에 대해선 할 말이 없다. 이 사건은 애국자의 영웅적 행위"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반면, 무라카미 유카리 홋카이도 공산당 의원은 당과의 관련성을 부정했다. 시라토리가 신용금고 비리에 연루되어 살인청부업자에게 살해당했다는 소문도 돌았다.[1]
사건 발생 4개월 후, 무라카미 쿠니지를 비롯한 공산당 삿포로 시당 위원들이 체포되었다. 체포된 자 중 T는 1월 3일부터 4일경 무라카미 등 7명이 모여 시라토리 경부 살해 모의를 했다고 자백했다. 그러나 범행에 이용된 권총은 발견되지 않았고, 2년 전 공산당원들의 사격 훈련 때 사용된 권총 탄환이 증거로 제출되었다.[1] 검찰은 무라카미를 살인죄 공모 정범으로, 나머지 두 사람을 공범 및 방조범으로 기소했다. 검찰은 이들이 무장봉기 훈련을 위해 사격 훈련을 했으며, 활동을 방해하려는 시라토리 경부를 사살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공산당원 3명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도피했다.[1]
시라토리 경부는 홋카이도 메무로정 출신으로, 오비히로 중학교(현 홋카이도 오비히로 하쿠요 고등학교) 졸업 후 1937년 홋카이도청 순사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할빈 학원에서 러시아어를 배우고 특고경찰 외사계에서 활동했으며, 전후에는 공안경찰로서 좌익 활동 감시와 재일 조선인의 밀무역 및 풍속 영업 단속을 했다. 1948년 삿포로시 경찰 경비과장으로 취임한 시라토리는 경찰 내부에서도 비밀주의를 철저히 하여, 상관조차 그의 정보 파악 범위를 알지 못했다.[8] 생전의 시라토리와 안면이 있던 아베 검사는 시라토리가 평소 조용하고 예의 바르지만 공산주의를 증오하는 정신은 시베리아 억류 경험 때문인지 치열했다고 회고했다.[22] 그는 가정에서는 좋은 아버지였으며, 사건 당일에도 어린 딸들에게 선물을 사 가겠다고 약속하고 나갔다. 사망 당시 36세였다.[23]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 이 사건을 다루며 미국 육군 방첩대(CIC)에 의한 음모론을 주장했지만, 당시 북해일일신문(후의 호쿠카이 타임스) 편집부장은 "CIC가 애지중지하는 심복인 시라토리를 해칠 리가 없다"라고 반박했다.[17]
2. 1. 냉전과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당시 소련과 인접한 홋카이도는 후방 보급 기지 안정 확보를 위해 미국 육군 정보부의 특수 활동이 활발했다. 삿포로에서는 일본 경찰의 국가지방경찰 본부, 삿포로시 경찰 본부, 미국 육군 방첩대(CIC), 그리고 뒷세계가 협력하거나 반목하며 공안 정보를 수집하는 일종의 "신디케이트"가 형성되었다. 시라토리는 CIC의 아지트였던 스스키노의 한 바에 자주 드나들었는데, 그곳에는 갱스터와 우익도 출입했다.[16]2. 2. 일본 공산당의 무장 투쟁 노선
한국 전쟁 당시, 일본 공산당은 '51년 강령'을 채택하고 무장 투쟁 노선을 걷고 있었다.[16] 이는 한국전쟁 발발 이후, 공산주의 세력 확장을 우려한 미군정과 일본 정부의 탄압에 대한 반발로 볼 수 있다.2. 3. 홋카이도의 특수성
한국 전쟁 당시 소련과 인접한 홋카이도는 후방 보급 기지의 안정 확보를 위해 미국 육군 정보부의 특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16] 삿포로에서는 일본 경찰의 국가지방경찰 본부와 삿포로시 경찰 본부, 미국 육군 방첩대(CIC), 그리고 뒷세계가 서로 협력하거나 반목하면서 공안 정보를 수집하는 일종의 "신디케이트"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홋카이도의 특수성은 일본 공산당 활동과 경찰의 대응에 영향을 미쳤다.3. 사건 발생
1952년, 일본 공산당은 51년 강령에 따라 무장 투쟁 노선을 채택했다. 삿포로시 경찰 경비과 과장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는 공산당원 검거에 앞장서 "탄압의 선봉"으로 지목되어 협박을 받았다.[8][10][11]
사건 당일,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는 자전거로 귀가하던 중 다른 자전거를 탄 범인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범인은 도주했다.
사건 발생 4개월 후, 무라카미 쿠니지 등 공산당원들이 체포되었다. T는 무라카미 등 7명이 시라토리 경부 살해를 모의했다고 자백했다. 그러나 범행에 사용된 권총은 발견되지 않았고, 2년 전 사격 훈련 때의 총알이 물증으로 제출되었다. 검찰은 무라카미 등을 기소하며, 이들이 시라토리 경부를 사살했다고 주장했다.
경찰 수사 과정에서 증거조작 및 자작극 의혹이 제기되었고,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 증거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1][4]
실행범은 일본공산당의 도움으로 해외 도피, 무라카미 구니하루는 주범으로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3] 무라카미는 재심을 청구했으나 최고재판소에서 기각되었다.[5]
요시다 시게루 총리는 사건 다음 날 시정 방침 연설에서 "공산 분자의 파괴 활동"을 언급했고,[15] 파괴 활동 방지법이 제정되었다. 한편, 신용금고 비리와 관련된 살인청부업자 설도 제기되었다.[16][17]
3. 1. 시라토리 경부 피살
1952년 1월 21일 오후 7시 42분경, 삿포로 시경 소속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가 자전거로 귀가하던 중 삿포로시 남6조 서16번지(현재의 주오구) 노상에서 총격을 당해 사망했다.[1] 범인은 자전거를 타고 뒤에서 접근하여 권총을 발사했고, 시라토리 경부는 심장에 탄환을 맞고 즉사했다. 범인은 그대로 자전거를 타고 도주했다.[1]시라토리 경부의 시신은 홋카이도 대학 병원에서 부검되었으며, 사인은 권총 탄환에 의한 다량 출혈로 밝혀졌다. 사용된 총기는 .32구경 브라우닝 권총(Browning영어)으로, 1910년형으로 추정된다.[9]
범행은 자전거를 탄 채 한 손으로 권총을 발사하여 급소를 명중시켜야 하는 매우 어려운 방식이었다.
3. 2. 일본 공산당의 성명
사건 발생 2일 후, 일본 공산당 홋카이도 도당은 "당과의 관계 여부에 대해선 할 말이 없다. 이 사건은 애국자의 영웅적 행위"라는 성명을 발표했다.[10] 한편, 무라카미 유카리 홋카이도 공산당 의원은 "당과 시라토리 사건은 무관"하다며 관련성을 부정했다.당시 일본 공산당은 51년 강령 채택 이후 무장 투쟁 노선을 걷고 있었고, 경찰관 습격 사건이 전국에서 잇따랐다.[6] 삿포로 위원회는 중핵 자위대를 조직해 열차 운전 업무 방해, 검사 및 시장 자택 투석 등의 사건을 일으켰다.[7] 이러한 상황에서 시라토리 경부는 공산당 탄압의 선봉으로 여겨져 당 관계자들로부터 적대시되었다.[8][10]
사건 직후, 공산당원들은 시내에서 "천벌이 마침내 내려졌다! 자유의 흉적, 시라토리 시경 과장의 추악한 최후야말로, 모든 파시스트 관헌들의 떨어질 운명이다"라는 내용의 삐라를 배포했다.[12]
이에 대해 홋카이도 지방 위원 M은 "우리 사전에는 '천벌을 내리다'라는 말은 없다"라며 관여를 부정하는 성명을 냈지만, 곧이어 "시라토리 씨 살해는 관헌의 탄압에 저항하여 일어난 애국자의 영웅적 행위"라며 범행을 칭찬하는 성명을 냈다.[10]
당 지도부 내에서는 "공산당이 한 일이 아니라는 일관성 없는 의견을 극복하고 당의 의사의 혁명적 통일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지시가 엇갈리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다.[4]
4. 수사 및 체포
1952년(쇼와 27년) 1월 21일 오후 7시 30분, 삿포로 시경 소속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가 자전거로 귀가하던 중 삿포로시 남구 6조 니시 16가 노상에서 범인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시라토리는 당시 비합법 활동을 하던 일본 공산당원을 체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고, 사건 발생 2일 후 공산당 홋카이도 도당은 이 사건을 "애국자의 영웅적 행위"라고 칭송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0] 한편, 시라토리가 신용금고 비리에 연루되어 살해당했다는 소문도 돌았다.[16][17]
사건 직후, 일본 공산당은 "천벌이 마침내 내려졌다!"라는 내용의 삐라를 배포하며 사건에 대한 연관성을 드러냈다. 그러나 홋카이도 지방 위원회는 당의 직접적인 관여를 부정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가, 곧이어 범행을 칭찬하는 성명을 내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다.[10]
당시 요시다 시게루 총리는 이 사건을 "공산 분자의 국내 파괴 활동"으로 규정하고, 파괴 활동 방지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15] 경찰은 일본 공산당에 의한 범행으로 보고 수사를 시작했으나,[1] 범행에 사용된 권총은 발견되지 않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발견된 탄환만이 유일한 물증으로 제시되었다.
4. 1. 일본 공산당원 체포
사건 발생 4개월 후, 경찰은 무라카미 쿠니지를 비롯한 일본공산당 삿포로시당 위원들을 체포했다.[1] 체포된 자들 중 T라는 사람은 "1월 3일부터 1월 4일경에 무라카미 등 7명이 모여 시라토리 경부 살해 모의를 했다"고 자백했다.[1] 그러나 무라카미 등이 체포된 후에도 범행에 이용된 권총은 발견되지 않았고, 사건 발생 2년 전에 공산당원들이 사격 훈련을 했을 때의 권총 총알이 물증으로 제출되었다.[1]이 과정에서 공산당원 3명은 당시 일본과 단교 상태였던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도피했다.[1]
4. 2. 증거 조작 의혹
수사 과정에서 경찰의 증거 조작 및 자백 강요 의혹이 제기되었다. 체포된 용의자들은 경찰의 강압적인 수사로 인해 허위 자백을 했다고 주장하며, 이 과정에서 일부는 정신 질환을 앓거나 자살하기도 했다.[11]특히, 유일한 물증으로 제출된 권총탄은 사건 발생 2년 전 중핵 자위대의 사격 훈련에서 사용된 것으로,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부식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되었다.[18][19] 또한, 이 탄환의 강선 감정은 당시 일본 경찰이 아닌 미군정 산하 기관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었다.[16]
5. 재판 과정
1955년 8월 16일, 검찰은 무라카미 구니하루를 살인죄의 공모공동정범으로, 공범 2명을 살인죄의 방조범으로 기소하며, "무라카미 등이 무장 봉기 훈련을 위해 호로미 고개에서 사격 훈련을 했고, 시라토리 경부를 사살했다"라고 주장했다.
1심 삿포로 지법은 무라카미에게 무기 징역을, 항소심 삿포로 고등 법원은 1960년 6월 판결에서 징역 20년으로 감형했다. 1963년 10월 17일, 최고 재판소는 상고를 기각하여 무라카미의 징역 20년형이 확정되었다.[2][3]
변호 측은 물적 증거인 탄환이 발사 후 2년이 지났음에도 응력 부식 균열이 없는 점과, 검찰 측 감정서가 일본 미군정 산하 연구소에서 작성되어 조작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T의 증언으로 발견된 불발 수제 수류탄은 변호 측도 인정하는 증거였다.
일본공산당은 억울한 누명 캠페인을 벌여 110만 명의 재심 요청 서명을 모았다. 무라카미는 무죄를 주장하며 1965년 재심을 청구하고 특별항고했으나,[1] 1953년 6월 23일 옥중에서 변호사를 통해 실행범들의 국외 도피를 지시한 서면[5]이 경찰에 압수되어 증거로 제출되었다. 삿포로 고등재판소는 1969년 6월 18일 "탄환의 증거 가치가 대폭 감소했다"라고 인정하면서도 무라카미의 신청을 기각했다.[13][28][29]
1975년 5월 20일, 최고재판소는 삿포로 고등재판소의 결정을 지지하며 무라카미의 특별항고를 기각했다.[1][5] 무라카미는 1969년 11월 14일에 가석방되었다.
5. 1. 1심과 2심
1심 삿포로 지방재판소는 무라카미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했으나, 항소심 삿포로 고등재판소는 징역 20년으로 감형했다.[1] 1963년 일본 최고재판소가 상고를 기각하여 판결이 확정되었다.[1]공범 T는 1심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 확정되었다. 다른 공범 1명은 1심에서 징역 5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고, 항소는 기각되었다.
5. 2. 최고재판소 판결과 '시라토리 결정'
1963년 일본 최고재판소는 상고를 기각하여 무라카미의 징역 20년형을 확정했다.[1] 1965년 무라카미는 재심을 청구했고, 1975년 최고재판소는 특별항고를 기각하면서도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 재판의 원칙을 재확인한 "시라토리 결정"을 내렸다.[30]이 결정은 이전까지 재심에서 증거를 완전히 뒤집을 만한 강력한 증거를 요구하던 관행을 깨고, "어느 정도의 합리적인 의문이 존재하는 경우"도 재심 대상으로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다.[31][32] 이후 멘다 사건, 사이다가와 사건, 마츠야마 사건 등에서 무죄 판결이 이어지면서 일본 사법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32]
6. 재판 이후
무라카미는 무죄를 주장하며 1965년에 재심을 청구했다. 재심 심리에서 무라카미의 일부 주장이 인정되기도 했지만, 검찰 측에서 무라카미의 연루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를 제출했다. 결국 1975년 최고재판소는 무라카미의 특별항고를 기각했다.[5]
이 재심 과정에서 최고재판소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 재판의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 판결은 이후 확정 판결의 사실 인정에 합리적인 의심이 생기면 재심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시라토리 결정"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경찰 수사 과정에서의 증거 조작 및 자작극 의혹은 끊이지 않았다. 일본공산당은 억울한 누명이라는 캠페인을 벌였고,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 당국의 증거 조작 의혹을 제기하며 여론을 환기시켰다.[1][4]
6. 1. 관련자들의 행방
1955년 중공으로 망명했던 수배자 3명 중 2명은 1988년에 사망했고, 츠루타 토모야만이 생존했다.[20] 1997년 일본 시사통신사가 북경 시내에서 츠루타를 만나 취재를 요청했으나, 츠루타는 사건 진상에 대해 함구했다. 츠루타는 2012년 1월경부터 심장 질환을 앓다가 3월에 사망했다.[20]무라카미 구니지는 1994년 사이타마현에서 실화로 추정되는 원인불명의 화재로 불에 타 사망했다. 향년 71세였다.[20]
해외로 도피한 3인에 대한 공소시효는 정지 중이며, 그들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공안 당국에서 사망 확인을 해주지 않아 영장이 계속 갱신되어 2014년까지 유효했다. 이는 일본에서 효력을 가진 가장 오래된 구속영장이었다.[20]
6. 2. 진상 규명 노력
1955년 중국으로 망명했던 수배자 3명 중 2명은 1988년 사망하고 츠루타 토모야 한 명만 살아남았다. 1997년 일본 시사통신사가 북경 시내에서 츠루타를 만나 취재를 요청했으나 츠루타는 사건 진상에 대해 함구했다. 츠루타는 2012년 1월경부터 심장 질환을 앓다가 3월에 사망했다.[6]무라카미는 1994년 사이타마현에서 실화(失火)로 추정되는 원인불명의 화재로 불에 타 죽었다. 향년 71세.[7]
해외 도피한 3인에 대한 공소시효는 정지 중이며, 그들이 사망했으나 중국 공안 당국에서 사망 확인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영장이 계속 갱신되어 공소시효는 2014년까지 유효했다. 이는 효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 최고(最古)의 구속영장이다.[8]
7. 사건의 영향 및 의의
일본공산당 삿포로 군사위원회 위원장 무라카미 구니하루가 주범으로 체포되어 1963년 10월 17일 징역형이 확정되었다.[2][3] 그러나 경찰 수사 과정에서 증거 조작 및 자작극 의혹이 제기되었고, 일본공산당의 억울한 누명 캠페인과 마쓰모토 세이초의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의 추론 등으로 억울한 누명이라는 여론이 커졌다.[1][4]
수형자가 된 무라카미는 무죄를 주장하며 1965년 재심을 청구했다. 심리에서 일부 주장이 인정되었지만, 검찰 측에서 무라카미의 연루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를 제출했고, 1975년 최고재판소는 무라카미의 특별항고를 기각했다.[5]
이때 최고재판소는 재심 제도에서도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 재판의 철칙이 적용된다고 판단하여, 이후 확정 판결의 사실 인정에 합리적인 의심이 있으면 재심을 개시할 수 있게 되었다.
7. 1. 일본 사회에 미친 영향
시라토리 사건은 당시 일본 사회에 만연했던 좌우 대립과 공포 분위기를 극명하게 드러냈다. 특히, 일본 공산당이 51년 강령 채택 이후 무장 투쟁 노선을 채택하면서 경찰관 습격 사건이 전국적으로 발생했고, 시라토리 사건도 이러한 배경 속에서 발생했다.[6]사건 직후, 일본 공산당은 초기에는 사건과의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곧 삿포로 시경 소속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 피살을 "애국자의 영웅적 행위"라며 칭송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0] 이러한 태도 변화는 당 내부의 혼란과 더불어,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요시다 시게루 총리은 사건 다음 날 시정 방침 연설에서 "공산 분자의 국내 파괴 활동"을 언급하며[15] 정권과 여당은 이 사건을 계기로 파괴활동방지법을 제정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는 공산당의 활동을 억압하고 사회적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스고 사건 등 억울한 누명 사건도 발생하여, 공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시라토리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좌우 이념 대립을 심화시키고 공안 정국을 조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사건은 오랫동안 일본 사회에서 금기시되었던 주제 중 하나였다.[44]
7. 2. 법조계에 미친 영향
일본 최고재판소는 1975년 무라카미의 재심 청구를 기각했지만, "재심 제도에서도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 재판의 철칙이 적용된다"라는 중요한 판단을 내렸다.[5] 이 판결은 "시라토리 결정"으로 불리며, 이후 일본 형사 재판에 큰 영향을 미쳤다.[30]이전까지 재심 재판은 증거를 완전히 뒤집을 만한 강력한 증거가 있어야만 가능했기 때문에, "열리지 않는 문"이라고 불릴 정도로 엄격했다. 그러나 시라토리 결정 이후에는 재판 당시 증거와 증언에 대해 "어느 정도의 합리적인 의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재심을 허용하게 되었다.[31][32]
시라토리 결정은 하급심의 재심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한 매우 중요한 판례였다.[33] 1980년대에는 멘다 사건, 사이다가와 사건, 마츠야마 사건, 시마다 사건, 도쿠시마 라디오 상 살해 사건 등 사형 확정 판결이 내려졌던 사건에서 잇따라 무죄 판결이 나오면서 일본 사법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32]
7. 3. 한국과의 관련성
한국 전쟁 당시 소련과 인접한 홋카이도는 후방 보급 기지의 안정 확보를 위해 미국 육군 정보부의 특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16] 그 중심지인 삿포로에서는 일본 경찰의 국가지방경찰 본부와 삿포로시 경찰 본부, 미국 육군 방첩대(CIC), 그리고 뒷세계가 서로 협력하거나 반목하며 공안 정보 수집을 하는 일종의 "신디케이트"가 형성되어 있었다. 시라토리는 CIC가 아지트로 사용하던 스스키노의 한 바에 자주 드나들었으며, 그곳에는 갱스터와 우익도 출입했다.[16]마쓰모토 세이초는 저서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 이 사건을 다루며 CIC의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했다.[17] 그러나 북해일일신문(후의 호쿠카이 타임스) 편집부장은 "시라토리 경부는 좌익 관련 정보 수집 능력에 있어서 최고였다. CIC로서는 그를 제거하면 아무 소용이 없어진다. CIC가 애지중지하는 심복인 시라토리를 해칠 리가 없다"라고 반박했다.[17]
8. 논란과 의문점
경찰의 수사 과정에서 증거 조작 및 자작극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끈질기게 제기되었다. 일본공산당은 억울한 누명이라고 주장하는 캠페인을 벌였고,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의 검은 안개』에서 당국에 의한 증거 조작 의혹을 제기하여,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억울한 누명이라는 여론이 확산되었다.[1][4]
무라카미 구니하루는 무죄를 주장하며 1965년 재심을 청구했으나, 1975년 최고재판소는 특별항고를 기각했다.[5]
이때 최고재판소는 재심 제도에서도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라는 형사 재판의 원칙이 적용된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 판결은 "'''시라토리 결정'''"이라고 불리며, 이후 확정 판결의 사실 인정에 합리적인 의심이 생기면 재심을 개시할 수 있게 되었다.
8. 1. 증거 조작 의혹
유일한 물증으로 제출된 권총탄은 2년 전 발사된 것이라고 보기에는 부식이 거의 없었고, 강선 자국이 시라토리의 시체에서 발견된 총알과 일치한다고는 하나 그 감정이 일본 미군정 측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무라카미는 1965년 재심을 청구하여 최고재판소에 특별 항고했으나 1975년 기각되었다.경찰은 범인을 체포하기 위해 용의자와 다른 공산당원을 오인 체포하거나, 기한 만료로 석방하는 척하면서 마중 나온 아버지 앞에서 별건으로 재체포하여 장기 구류 수사를 하는 등 강압적인 수사를 통해 조서를 작성해나갔다고 한다.[11] 이 과정에서 체포자와 당원 중에는 평생 정신 질환을 앓거나 자살하는 사람도 나왔다.
범행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브라우닝 권총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고,[1] "사건 2년 전에 행해진 중핵 자위대의 사격 훈련 유류품"이라 하며 "피해자 체내에서 적출된 것과 다른 총기에서 발사되었을 확률은 1조 분의 1보다 작다"는 강선 감정 결과가 나온 탄환("2개의 탄환"[13])만이 재판에 제출된 직접적인 물증이 되었다.[18] 이 탄환은 T의 입회하에 호로미 고개에서 삿포로시경이 수색하여 발견한 것이다.[18]
8. 2. 일본 공산당의 책임 문제
1952년 당시 일본 공산당은 51년 강령을 채택하여 무장 투쟁 노선을 택했고, 이에 따라 경찰관 습격 사건이 전국에서 잇따랐다.[6] 삿포로 위원회에서는 위원장 무라카미 쿠니지 등이 군사 방침을 세우고 중핵 자위대를 조직, 여러 사건을 일으켰다.[7]삿포로시 경찰 경비과 과장 시라토리 카즈오 경부는 공산당원을 다수 검거하여 당 관계자들로부터 "탄압의 선봉"으로 적대시되었다.[8][10] 이러한 상황에서 시라토리 경부가 살해되자, 일본 공산당은 사건과의 연관성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범행을 칭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0]
사건 직후 당 지도부는 "공산당이 한 일이 아니라는 일관성 없는 의견을 극복하고 당의 의사의 혁명적 통일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지시를 내려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다.[4]
정권과 여당은 이 사건을 계기로 파괴 활동 방지법을 제정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일본 공산당은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전 의석을 잃는 등 국민의 지지를 잃었다.
참조
[1]
웹사이트
「白鳥事件は冤罪ではなかった!」新資料・新証言による60年目の真実
http://chikyuza.net/[...]
ちきゅう座
2017-11-30
[2]
서적
2012
[3]
서적
立花書房
2009
[4]
서적
日本共産党の戦後秘史
新潮社
[5]
웹사이트
昭和46(し)67
https://www.courts.g[...]
最高裁判所
2019-07-11
[6]
웹사이트
戦後日本共産党史の見直しを
http://gendainoriron[...]
2021-12-18
[7]
문서
철포알
[8]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13回国会 行政監察特別委員会 第10号
https://kokkai.ndl.g[...]
2018-09-03
[9]
서적
2013
[10]
서적
2013
[11]
서적
2013
[12]
웹사이트
「日本で一番悪い奴ら」北海道警察VS日本共産党
https://nikkan-spa.j[...]
2021-01-16
[13]
간행물
最高裁判所事務総局
[14]
웹사이트
「白鳥事件は冤罪ではなかった!」新資料・新証言による60年目の真実③
http://chikyuza.net/[...]
ちきゅう座
2017-11-30
[15]
웹사이트
衆議院会議録情報 第013回国会 本会議 第6号
https://kokkai.ndl.g[...]
2018-11-26
[16]
서적
2013
[17]
서적
2013
[18]
서적
2013
[19]
서적
「無罪」を見抜く
岩波書店
2013-11-27
[20]
웹사이트
第029回国会 海外同胞引揚及び遺家族援護に関する調査特別委員会 第2号
https://kokkai.ndl.g[...]
2017-12-01
[21]
서적
2013
[22]
서적
2012
[23]
뉴스
「白鳥事件」更新続く最古の逮捕状 札幌で60年前に警官射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電子版
2018-09-01
[24]
웹사이트
昭和35(あ)1378
https://www.courts.g[...]
2021-08-14
[25]
웹사이트
第058回国会 法務委員会 第33号
https://kokkai.ndl.g[...]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2017-12-01
[26]
웹사이트
第60回国会衆議院法務委員会第1号昭和43年12月17日
https://kokkai.ndl.g[...]
2022-06-24
[27]
서적
2012
[28]
간행물
最高裁判所刑事判例集
判例調査会
[29]
웹사이트
「白鳥事件は冤罪ではなかった!」新資料・新証言による60年目の真実②
http://chikyuza.net/[...]
ちきゅう座
2017-12-01
[30]
백과사전
2022-03-15
[31]
웹사이트
白鳥事件/白鳥決定
https://imidas.jp/ge[...]
集英社
2020-08-25
[32]
백과사전
2022-06-24
[33]
간행물
判例について
http://id.nii.ac.jp/[...]
2016-03-31
[34]
간행물
いずれも反党盲従分子 {{small|中国から帰国の5人}}
1975-12-28
[35]
뉴스
白鳥事件・最後の実行メンバー死亡…北京で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2-03-30
[36]
논문
北京追憶 : 若者が体験した戦後日中関係秘史
https://doi.org/10.1[...]
アジア社会文化研究会
2019-03-31
[37]
웹사이트
「白鳥事件を考える札幌集会」の報告
http://e-kyodo.sakur[...]
インターネット事業団
2020-08-27
[38]
논문
中国に逃亡した鶴田容疑者が日本史の教科書を執筆していた
2012-06-05
[39]
서적
2013
[40]
뉴스
白鳥事件の鶴田容疑者が死亡=逃亡先の北京で-警部射殺から60年、真相語らず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2-03-29
[41]
서적
2012
[42]
뉴스
更新続く「最古の逮捕状」 白鳥事件で北海道警
https://www.chibanip[...]
2012-11-24
[43]
뉴스
更新続く「最古の逮捕状」 白鳥事件で北海道警
https://web.archive.[...]
47NEWS
2012-11-24
[44]
서적
2013
[45]
뉴스
白鳥事件 党員の犯行裏付け 元共産党軍事部門幹部が証言 米軍謀略説を否定 事件直後「報告聞いた」
1998-10-29
[46]
뉴스
白鳥事件で証言 川口孝夫さんに聞く 「当時の党 方針間違い」
1998-10-29
[47]
논문
現代史への一証言(上)川口孝夫著『流されて蜀の国へ』を紹介する
https://doi.org/10.1[...]
労働運動研究所
[48]
논문
現代史への一証言(下)川口孝夫著『流されて蜀の国へ』を紹介する
https://doi.org/10.1[...]
労働運動研究所
[49]
서적
2013
[50]
뉴스
「白鳥事件」銃撃、数日前に失敗…地下組織の元隊員60年後の証言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2-02-24
[51]
뉴스
白鳥事件裁判資料譲渡へ
2021-12-09
[52]
웹사이트
HBC北海道放送 プレスリリース 2011年
http://www.hbc.co.jp[...]
[53]
뉴스
秋田放送の番組がテレビ部門大賞 第48回ギャラクシー賞
https://web.archive.[...]
47NEWS
2011-06-02
[54]
논문
上田誠吉氏に聞く--白鳥事件のことなど(法曹あの頃-26-)
日本評論社
[55]
서적
法曹あの頃(上)
日本評論社
[56]
논문
高木一氏に聞く-下-白鳥事件(法曹あの頃-51-)
日本評論社
[57]
서적
法曹あの頃(下)
日本評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